티스토리 뷰

반응형

2025년 4월 24일 목요일, 뉴욕증시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반도체 업종의 강력한 실적 발표가 기술주 전반을 견인했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연속된 무역 유화 발언이 시장 심리에 훈풍을 불어넣었습니다. 장중엔 푸틴의 키이우 폭격이라는 지정학적 리스크도 있었지만, 트럼프가 즉각 진화에 나서면서 시장은 상승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미국주식 시황

 

시장 상승 배경: 반도체와 정치가 동시에 움직였다

① 반도체 섹터, 전면 반등… 상승률 5.75%

  • 램리서치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반도체 업종 전반이 급등했습니다.
  • 특히 램리서치는 반도체 장비 수요 회복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산업용 및 레거시 반도체 시장의 견조한 수요를 확인시켜줬습니다.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SOX)는 하루 만에 5% 넘게 반등하며, 3월 말 이후 가장 강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② 트럼프의 입에서 나온 유화 메시지

  • “중국과 오늘 아침 회의를 했다”는 발언은 시장에 실시간으로 전해지며, 미중 대화 채널이 단절되지 않았음을 강조했습니다.
  • 전일에도 트럼프는 “파월 연준의장을 해임할 생각은 없었다”는 발언으로 일종의 정책적 후퇴 또는 협상 여지를 남기는 신호를 주었습니다.
  • 베센트 재무부장관도 “중국과의 관세 긴장이 가까운 시일 내에 완화될 가능성”을 언급해 시장 분위기를 더욱 끌어올렸습니다.

 

시장 뉴스 타임라인

오후 8시 – 푸틴, 키이우 폭격 (12명 사망, 90명 부상)

→ 지정학적 긴장 고조. 그러나 시장 충격은 제한적.

 

오후 9:24 – 트럼프 TruthSocial 발언

“블라디미르, 멈춰! 평화 협정을 체결합시다!”

→ 시장은 이를 전쟁 리스크 완화의 신호로 받아들임.

 

오후 9:26 – 독일 재무장관

“90일 이내 미국과 관세 합의 가능성”

→ 유럽 주요국의 낙관적 시그널 등장

 

오후 9:35 – 해먹 연준 위원

기준금리 상·하단 모두 열려 있으며, 데이터 기반 접근 원칙 강조

→ 연준의 금리 방향이 보다 유연해졌음을 시사

 

오후 11:00 – 월러 연준 위원

“7월 전까지 관세 영향은 제한적”

“관세 확대 시 실업률 자극 가능성”

→ 필요시 금리 인하 가능성도 언급

 

오전 1:10 – 트럼프 기자 회견 전 발언

“푸틴에게 멈추라고 요청했다. Yes, I do.”

→ 트럼프의 직접적 개입 시도 확인

 

오전 1:20 – 트럼프

“중국과 오늘 아침에도 대화했다”

→ 보도 내용(중국과 대화 중단설)은 오보라고 일축

 

오전 3:00 – 베센트 재무장관 및 트럼프 정상회담 요약

  • 한국과의 회담 긍정적, 다음 주 후속 협의 예정
  • 러시아·우크라이나 양측 모두 평화 의지 있음
  • 트럼프: “우크라 전쟁은 바이든의 전쟁”이라며 책임 전가
  • “연준은 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 이미 늦었다”고 강한 메시지

 

기업 실적 발표 요약

기업명 EPS (주당순이익) 매출 주요 내용
구글 (GOOG) 2.81 (예상: 2.01) 900억달러 (예상: 890억) 자사주 매입 700억달러, 배당금 5% 인상, AI 투자 확대
인텔 (INTC) 0.13 (예상: 0.74) 126.7억달러 (예상: 123억) 실적 부진, 인수합병 계획 없음, 재무 구조 개선 우선
셀레스티카 (CLS) 1.20 (예상: 1.12) 26.5억달러 (예상: 25.6억) 공급망 안정화 반영, 소폭 서프라이즈

 

해석과 전망

“반도체는 실적으로, 트럼프는 말로 시장을 끌어올렸다.”

기술주가 살아나고, 트럼프의 메시지 하나하나가 시장 기대를 자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연준 위원들의 신중한 스탠스 역시 금리 인하 기대감을 유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향후 주목할 포인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여부
  • 미중 무역 협상 실질적 진전 여부
  •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확정 (FOMC 전까지 불확실성 지속)
  •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의 실적 발표와 시장 반응

 

이번 반등이 단순한 기술적 조정 이후의 반짝 상승인지, 아니면 보다 구조적인 회복 흐름의 시작인지를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반등이 실적 기반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시장의 기대가 과도하지 않은지 신중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또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은 종종 즉흥적이고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발언 내용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그 일관성과 실행 가능성에 대해서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울러 반도체 업종의 급등세가 단기적인 순환 반등에 그칠지, 아니면 산업 전반의 구조적 회복으로 이어질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향후 발표될 실적과 글로벌 수요 회복 추이를 계속해서 관찰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