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 미국 증시 하락세의 원인
미국 증시는 최근 몇 주 동안 전반적인 하락 압박을 받았습니다. 가장 큰 배경으로는 매크로 경제 요인들이 지목됩니다.
연준의 긴축적 통화정책 영향으로 시장 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주식 valuation에 부담을 주었고,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기대보다 더딘 점도 투자 심리를 악화시켰습니다.
특히 2024년 말 연준이 첫 금리인하를 단행했지만 2025년 추가 완화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자 투자자들은 실망감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한편 지정학적 불확실성도 크게 작용했습니다. 새로운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무역 갈등 수위를 높이면서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었는데, 실제로 3월 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고율 관세 시행을 발표하자 투자 심리가 급속히 냉각되었습니다.
이처럼 연준 정책, 인플레이션 지표, 무역정책 및 지정학 리스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최근 증시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기술주 급락과 나스닥 조정 현황
이번 조정장에서 기술주들의 타격이 특히 두드러졌습니다. 한때 시장 상승을 이끌었던 빅테크 기업들이 연초 이후 줄줄이 약세를 보이며 나스닥 지수의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2024년에 36%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던 미국 기술주는 2025년 들어 5% 안팎의 하락세로 전환되었고,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모두 연초 대비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는 -10% 이상 조정을 겪었습니다.
반도체와 AI 관련주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AI 열풍의 대표주인 엔비디아가 실적 발표 후 하루 만에 9% 폭락하기도 했습니다. ARM 등 다른 반도체주도 동반 하락했습니다. 이러한 하락은 과열 후 숨고르기 성격으로도 볼 수 있으며, 현재는 금융, 소재, 헬스케어 등으로 자금이 분산되는 로테이션 장세가 전개되고 있습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대형 기술주들은 잠시 조정 후 몇 달 만에 다시 상승 전환한 경우가 많아, 지나친 비관은 금물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향후 반등을 이끌 주요 조건과 시나리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하락장이 끝나고 반등이 이뤄지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1. 금리 동결 및 인하 전환
연준이 긴축 사이클을 마무리하고 금리 정책을 전환하는 것이 반등의 핵심 조건입니다. 2025년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시사된 가운데, 인플레이션 둔화와 함께 확실한 정책 전환이 이루어진다면 투자 심리는 빠르게 회복될 수 있습니다.
2. 경제 연착륙 시나리오
경기 침체 없이 인플레이션만 잡는 시나리오가 실현된다면 이는 증시에 큰 호재입니다. 미국 경제는 여전히 견조한 고용을 바탕으로 연 2% 내외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연착륙에 대한 기대를 높입니다. 실제로 2024년 S&P500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급등한 것도 이런 ‘골디락스’ 국면 덕분이었습니다.
3. 기술주 실적 반등과 AI/반도체 수요 회복
대형 기술주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견고하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매그니피션트 7’ 기업들의 실적 예상치는 계속 상향 조정되고 있으며, 반도체 시장도 하반기 재고 조정 마무리와 함께 반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AI와 데이터센터 수요가 중장기 성장동력으로 작용하며, 다시 한 번 기술주 상승 랠리를 이끌 가능성이 큽니다.
4.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무역 분쟁,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완화될 경우, 투자심리는 빠르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기업들의 투자 환경이 안정되고, 주식시장도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입니다.
전문가들의 중기 전망
월가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신중한 입장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여전히 우상향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많습니다.
골드만삭스는 2025년 S&P500이 연말에 6,500선에 도달할 것으로 봤으며, 모건스탠리는 완만하지만 긍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일부 기관은 하반기부터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고, 2026년에는 강한 랠리가 재개될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반등 시점과 투자심리 변화
과연 언제 반등할까? 기술적 분석상 나스닥은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고, 투자자 심리도 극단적으로 위축된 상황입니다.
이러한 공포 심리는 오히려 반등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실적 발표나 정책 변화가 나타난다면, 투자자들의 FOMO 심리가 자극되며 주가가 빠르게 반등할 수 있습니다. 긴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오듯, 지금의 하락장은 더 크게 도약하기 위한 조정일 수 있습니다. 시장의 희망회로를 가동해 볼 때입니다.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사는 법 완벽 정리 (2025년 최신판) (0) | 2025.04.02 |
---|---|
미국 주식 공매도 확인법 및 활용 방법 (0) | 2025.04.02 |
치폴레(Chipotle, CMG) 2025년 투자 전망 : 프리미엄 패스트푸드 성장주 (1) | 2025.03.22 |
덱스콤(DexCom, DXCM) 2025년 투자 전망 : 당뇨 관리 혁신 기업 (0) | 2025.03.21 |
엔비디아 GTC 2025 젠슨 황 키노트 (발표 내용, 산업 영향, 시장 반응) (1) | 2025.03.19 |